본문 바로가기

청약11

[청약] 옵션 선택 시 주의사항 청약에 당첨 된 후 계약을 진행하게 되면, 분양대금 외에 옵션가가 별도 책정되어 있습니다. 옵션가는 해당 분양에 따라 책정가가 다른데요, 보통 적게는 일천만원 대에서 시작하고, 저의 경우에는 5천 정도로 비교적 높게 책정된 옵션가 였습니다. 분양가가 비교적 싸게 나온 대신 옵션가가 비싸게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이 옵션가를 합쳐서 전체적인 분양대금으로 생각하고 예산을 검토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청약 옵션에 포함 된 사항청약 옵션사항이라 하면 보통 발코니 확장 및 시스템 에어컨을 얘기 합니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이 발코니 확장을 하고, 20평대 이상은 방 3개 및 거실1개로 총 4개 이상의 에어컨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에어컨처럼 시스템 공기청정기도 진행할 수 있는 옵션이.. 2024. 11. 11.
[청약] 당첨 시 예산 수립하기! 원하는 곳의 아파트 청약에 당첨된다면!? 축하 드립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내 집을 만들기 위해, 그 후의 프로세스를 진행 해야 겠네요.지난 포스팅에서 청약에 당첨되면 우선 계약금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 후에 필요한 비용과 예산은 어떻게 수립하면 되는지 큰 그림을 그리고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했던 것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 당첨. 그리고 2가지 계약금 납입청약에 당첨되면 우선 해당 분양에 대한 계약 확정 의사로 계약금을 납입하게 됩니다. 일반 주택을 매매할 때 계약금을 납입하는 것과 같이 내가 이 집을 계약하겠다 라는 의미 이겠죠. 정해진 날짜 내에 보통 분양가의 10%정도를 정해진 계좌로 납입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분양가가 5억이고 계약금이 10.. 2024. 11. 11.
[청약] 중소기업 근로자의 내 집 마련 방법. 특공 청약하기! 나날이 치솟는 집값. 빠듯한 중소기업 직장인들의 월급. 이래서 언제 내집을 마련하나 싶습니다. 그럼에도 우리에겐 집이 필요하고, 내집이라는 개념은 특히나 삶의 안정감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지금 집값은 너무 비싸고, 이전 세대의 집값은 싼 것 같지만, 사실 내집 마련이 쉬운 때는 없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어렵지만, 현재를 한탄하기 보다, 헤쳐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고자 합니다.  중소기업 직장인이 내집 마련을 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 청약 특별공급 중에 중소기업장기근속자를 위한 청약 제도가 있다는 걸 아시나요? 청약 통장이 있고, 중소기업에서 5년이상 근속하였다면 어렵지 않게 지원해 볼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장기근속자 주택 우선 공급 청약 자격 요건중소기업에 5년 이상 또는.. 2024. 11. 5.